사사기의 마지막은 참으로 참담한 이스라엘의 타락상으로 끝을 맺습니다. 그리고나서 세월이 지나 성경의 화자는 엘리멜렉이라는 사람의 가정으로 시선을 돌리게 합니다.
(룻 1:1) 사사들이 이스라엘을 다스리던 시대에 가뭄이 든 일이 있었습니다. 그 때에 엘리멜렉이라는 사람이 아내와 두 아들을 데리고 유다 땅 베들레헴을 떠나 모압 지방으로 갔습니다.
(룻 1:2) 그의 아내의 이름은 나오미고, 두 아들의 이름은 말론과 기룐이었습니다. 이들은 원래 유다 땅 베들레헴에서 가까운 에브랏 지방 사람이었지만, 모압으로 가서 살았습니다.
(룻 1:3) 그 뒤에 나오미의 남편 엘리멜렉이 죽고, 나오미와 그의 두 아들만 남게 되었습니다.
(룻 1:4) 그 두 아들은 모압 여자를 아내로 맞아들였는데, 한 여자의 이름은 오르바이고, 다른 여자의 이름은 룻이었습니다. 나오미와 그의 아들들은 모압에서 십 년쯤 살았습니다.
(룻 1:5) 그러다 말론과 기룐마저 죽어 버리자, 나오미는 남편과 두 아들을 잃고 홀로 남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나오미는 두 며느리와 남게 되었는데, 그러던 어느날 고향의 소식을 듣게 됩니다.
(룻 1:6) 그러던 어느 날, 나오미는 여호와께서 자기 백성을 돌보아 유다에 풍년이 들게 하셨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모압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갈 준비를 했습니다. 나오미의 두 며느리도 함께 떠날 준비를 했습니다.
나오미는 차마 두 며느리를 자신의 고향으로 데리고 갈 수가 없어서 여호와의 이름으로 축복해주며 며느리들의 어머니에게로 가라고 합니다.
그러나 두 며느리 중에 룻은 나오미를 떠나지 않겠다고 하며 어머니의 하나님을 자신도 모시겠다고 합니다.
(룻 1:16) 그러자 룻이 말했습니다. “저더러 어머니를 떠나라고 하거나, 어머니 뒤를 따르지 말라고 하지 마십시오. 저는 어머니가 가시는 곳에 따라가고, 어머니가 사시는 곳에서 살겠습니다. 어머니의 백성이 제 백성이고, 어머니의 하나님이 제 하나님이십니다.
(룻 1:17) 어머니가 돌아가시는 곳에서 저도 죽어, 거기에 묻히겠습니다. 만약 제가 이 맹세를 지키지 않는다면, 여호와께서 제게 무서운 벌을 내리셔도 좋습니다. 오직 죽음만이 우리를 갈라 놓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볼 때, 성경에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나오미가 얼마나 이방여인이었던 며느리들에게도 인정받을만한 신앙을 가지고 평소의 삶을 살았을까 하는 것을 짐작해볼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룻이 자기나라를 떠나서 나오미를 따라가겠다고 할만큼 시어머니의 삶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시어머니 나오미와 그 나오미가 믿는 하나님에 대한 룻의 믿음이 대단한데 그가 그런 믿음을 가질 수 있을만큼 나오미는 며느리 룻에게 훌륭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엘리멜렉 가문의 친척인 보아스가 룻을 만나게 되고, 룻에 대한 소식을 들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룻 2:11) 보아스가 대답했습니다. “나는 당신 남편이 죽은 뒤에 당신이 시어머니에게 한 일을 들었소. 또 당신이 당신 부모와 당신 나라를 떠나, 아는 사람 하나 없는 이 나라로 온 것도 다 알고 있소.
(룻 2:12) 여호와께서 당신이 한 일을 갚아 주실 것이오. 작은 새가 자기 어미 날개 아래로 피하듯이 당신이 여호와께 왔으니,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넉넉히 갚아 주실 것이오.”
그리고 보아스는 나중에 룻에게 그녀가 착한 여자라는 것을 마을 사람들이 다 알고 있다고 말해줍니다.
(룻 3:11) 이제는 걱정하지 마시오. 당신이 바라는 것을 다 해 주겠소. 당신이 착한 여자라는 것은 우리 마을 사람들이 다 알고 있소.
오늘의 말씀을 읽으면서 결국 우리의 삶은 이웃에게 드러나게 마련이라는 것을 다시 깨닫게 되는 바가 있었습니다. 내가 누군가에게 알리려고 애쓰지 않아도 나의 삶은 남에게 보이기 마련이고, 그들은 내 삶의 증인이 되기도 합니다.
결국 나의 삶은 "성도의 옳은 행실"로서 증명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물론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해 신앙생활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내가 진실로 하나님을 옳게 믿고 옳게 따르고 있다면 반드시 내 삶에는 옳은 행실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 옳은 행실이 곧 내가 어린양이신 예수 그리스도와의 혼인에 필요한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 옷이라 하셨으니 부지런히 내 옷을 빨면서 성도의 옳은 행실의 삶을 살아야겠습니다.
(계 19:7, 개역개정) 우리가 즐거워하고 크게 기뻐하며 그에게 영광을 돌리세 어린 양의 혼인 기약이 이르렀고 그의 아내가 자신을 준비하였으므로
(계 19:8) 그에게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 옷을 입도록 허락하셨으니 이 세마포 옷은 성도들의 옳은 행실이로다 하더라
(계 19:7, 아가페쉬운성경) 기뻐하고 즐거워하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자. 어린양의 결혼식이 가까웠다. 신부는 몸단장을 끝내고
(계 19:8) 빛나고 깨끗한 흰 모시옷을 입었으니 그 옷은 성도들의 의로운 행위를 뜻한다.”
'성령과 진리 위에 굳게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구약통독 완주 19일차] 민수기 26~32장 거룩하신 하나님을 예배할 수 있는 특권 (0) | 2021.02.04 |
---|---|
[2021 구약통독 완주 18일차] 민수기 17~25장 심판과 구원의 권세는 오직 하나님께 있다 (0) | 2021.02.04 |
[2021 구약통독 완주 17일차] 민수기 9~16장 하나님의 무익한 종이 된다는 것 (0) | 2021.01.30 |
[2021 구약통독 완주 16일차] 민수기 3~8장 세상으로부터 구별된 그리스도인 (0) | 2021.01.29 |
[2021 구약통독 완주 15일차] 레위기 23장~민수기 2장 신실하게 약속을 성취하시는 하나님 (0) | 2021.01.29 |